HPV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사업소개
HPV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사업개요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자격확인 서류> |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증명서 |
차상위 본인부담경감대상자 증명서 |
자활근로참여확인서 |
장애인 연금, 장애수당, 장애아동수당 대상자 확인서 |
차상위계층 확인서 |
첫 접종 나이 | 접종 횟수 | 백신 | 차수 | 다음 접종 간격 |
---|---|---|---|---|
만 12~14세 | 2회 | HPV2, HPV4 | 1차 | 6~12개월 |
2차 | - | |||
만 15~25세 | 3회 | HPV2 | 1차 | 1개월 |
2차 | 5개월 | |||
3차 | - | |||
만 15~26세 | HPV4 | 1차 | 2개월 | |
2차 | 4개월 | |||
3차 | - |
- ①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및 기준중위소득 50% 이하의 차상위계층
- ② 저소득층 자격확인서류 1부 지참 후 방문(접종 당일 보장 급여 자격이 있는 경우만 지원)
- ③ 성장발달과 초경에 대해 의사선생님과의 1:1 상담 실시
- ④ 접종 당일 피접종자의 주민등록상 생년월일(실제 만 나이) 기준
- ⑤ 지자체 상황에 따라 보건소에서 예방접종이 불가능할 수 있으니 방문 전 확인 필수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한 주의사항
접종 가능 백신 확인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앱에서 가까운 지정의료기관과 해당 의료기관에서 접종 가능한 백신 종류를 확인합니다.
지정의료기관 방문
건강상태가 좋은 날, 보호자와 함께 개별적으로 방문합니다.
만약 동행이 어려운 경우 보호자 동의서 등을 미리 작성해주세요.
예방접종
안내문 확인
의료기관에 도착하여 사춘기 성장발달과 초경 관련 자료* 및 예방접종 안내문을 읽어봅니다
만 12세 대상자(2010~2011년 여성청소년)
점검표 &
예진표 작성
‘표준 여성 청소년 건강상담 점검표*’와 ‘예방접종 예진표**’를 작성합니다.
만 12세 대상자(2010~2011년생) 여성청소년
*문자수신에 동의한 경우, 지정의료기관으로부터 다음 예방접종 일정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건강 상담
작성한 ‘표준 여성 청소년 건강상담 점검표’를 바탕으로 건강 상담을 받습니다.
예진 후 예방접종
‘예방접종 예진표’를 토대로 의사의 예진 후 예방접종을 받습니다.
이상반응
발생여부 관찰
예방접종 후에는 20~30분간 접종기관에서 머물면서 이상반응 발생여부 등을 관찰하고 예방접종 후 주의사항 및 다음 상담 ∙ 접종일정 확인 후 귀가합니다.
예방접종 후 휴식
예방접종 후에는 접종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휴식을 취합니다.
-
미성년자의 예방접종 시 보호자 동행이 원칙
-
- 부득이하게 보호자(부모, 법정대리인 등) 동행이 어려운 접종 대상자는 사전에 보호자가 작성한 '예방접종 시행 동의서 및 예진표'를 소지하고 병원을 방문하도록 합니다.
- 접종을 시행하는 의사는 사전에 보호자가 작성한 예방접종 시행 동의서 및 예진표를 확인하고 예방접종 전·후 주의사항 및 이상반응에 대해 접종 대상자 및 보호자(유선 및 SMS 문자 설명)에게 설명하고 접종을 시행합니다.
- * 예방접종 시행 동의서 등 관련 서식은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에서 보호자가 직접 다운로드 가능
- ** 서식 다운로드 방법: 예방접종도우미(https://nip.kdca.go.kr) → 예방접종관리→ 관련자료 다운로드 → ‘HPV 국가예방접종사업 동의 서식 모음’
사업 관련 문의 | 보건소 및 질병관리청 예방접종관리과 (043-719-8398~8399) |
---|---|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 |
자궁경부암 알아보기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는?
- 전염성이 높은 병원체로 피부나 생식기 점막 등을 감염시켜 HPV 관련 암(자궁경부암, 외음부암, 항문암 등)과 그 전암병변, 생식기 사마귀 같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감염시 대부분 무증상이고 12~24개월 내에 자연 소멸되지만 3~10%에서는 지속감염을 일으키고, 지속감염은 수년에서 수십년 후 다양한 암 발생의 위혐 요인이 됩니다.
이 중에서 ‘고위험 유전형’ 은 HPV 16,18형이 대표적이고 대부분의 HPV 관련 암을 유발하여 백신의 주요 표적이 됩니다. ‘저위험 유전형’ 은 대표적으로 HPV 6,11형이 있고 암은 거의 일으키지는 않지만 HPV 관련 전암성 병변, 생식기 사마귀 등을 일으킵니다.
-
얼마나 감염될까요?
-
- HPV 감염은 흔한 성매개 감염질환 중 하나로, 성생활을 시작한 여성 4명 중 2~3명은 평생 적어도 한 번 이상 HPV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우리나라의 18~79세 여성 60,77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조사 당시 대상의 34.2%(20,787명)가 HPV에 감염되어 있었습니다.
2006 - 2011 HPV 감염 연구 결과
조사 대상자 수 | HPV 감염 양성 | ||||||
---|---|---|---|---|---|---|---|
저위험 HPV 감염율 (중복감염 포함) | 고위험 HPV 감염율 (중복감염 포함) | 계 | |||||
계 | 60,775 | 10,159 | 16.70% | 10,628 | 17.50% | 20,787 | 34.20% |
18 - 29세 | 4,297 | 972 | 22.60% | 1,171 | 27.30% | 2,143 | 49.90% |
30 - 39세 | 16,907 | 2,698 | 16.00% | 3,395 | 20.10% | 6,903 | 36.00% |
40-49세 | 20,661 | 3,126 | 15.10% | 3,226 | 15.60% | 6,352 | 30.70% |
50-59세 | 13,552 | 2,443 | 18.00% | 1,992 | 14.20% | 4,365 | 32.20% |
60-69세 | 6,312 | 654 | 10.40% | 541 | 8.60% | 1,195 | 18.90% |
70-79세 | 1,746 | 266 | 15.20% | 373 | 21.40% | 639 | 36.60% |
자궁경부암이란?
- 자궁경부암은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이 주된 원인입니다.
- 국내에서는 매년 5만명 이상 진료받고 있는 암으로, 한 해 3,000여명*의 여성이 새로이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받고 약 800**여명의 여성이 이 병으로 사망합니다.
[통계자료 출처 : *국립암센터 암등록 통계(2019년 기준),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2021년 기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HPV 백신 알아보기
HPV 백신은
자궁경부암의 70%를 일으키는 고위험 유전형(16,18형)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접종합니다. HPV 백신은 바이러스 유사입자(Virus-Like Particle,VLP)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전염성이 없고 HPV 관련 질환들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항체 생성을 유도하여 HPV 감염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냅니다.
HPV 백신의 효과성
- HPV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에서 무료지원 가능한 두 가지 HPV 백신(가다실(4가)와 서바릭스(2가)) 모두 백신 포함 유전형 HPV에 대한 예방효과가 매우 뛰어나, 성경험 전에 접종을 완료할 경우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등 전암병변에 70~90%의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호주, 덴마크, 미국, 프랑스 등 일찍이 HPV 백신을 국가예방접종사업에 도입한 국가들에서는 이미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생식기 사마귀 등 HPV 관련 질환의 유의한 감소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호주의 한 연구에 따르면 HPV 백신 도입 전 29%이었던 자궁경부도말 검사 상 백신 포함 HPV 유전형이 백신 도입 4년 후 7%로 감소하였습니다.
HPV 백신의 안전성
HPV 백신은 전반적으로 매우 안전한 백신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5억건 이상(2022년 기준) 접종되었고, OECD 38개국 중 36개*(2021년 기준)이 HPV 백신을 국가예방접종사업으로 도입하였습니다.
* 자료원 : WHO, CDC
-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
-
가장 흔한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입니다. 부어오름과 발적, 두드러기 등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가만히 있어도 통증이 느껴지거나 일상 활동을 방해할 정도의 통증이 약 6%에서 보고되었으나 대부분 수일 내에 회복되었습니다. 전신 이상반응으로 발열, 메스꺼움, 근육통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드물게 접종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접종 후 청소년과 젊은 성인에서 일시적인 의식 소실(실신)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온라인에서 유포된 해외 부작용 사례에 대한 전문단체의 입장
-
- HPV 예방접종 때문에 걷지 못하게 되었다는데?
일본에서는 HPV 백신 8백만 건 이상이 공급되었으며, 복합부위통증증후군(case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5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그러나 2014년 일본 후생노동성의 조사결과 전형적인 복합부위통증증후군에 부합하지 않았으며, 백신과의 관련성은 인정하기 힘들고, 접종대상자의 심리적 불안과 긴장에 의한 것으로 잠정결론 내렸습니다. 또한 2016년 4월 소아과학회, 산부인과학회 등 17개 단체로 이루어진 일본의 예방접종추진전문협의회는 HPV 예방접종을 적극 권장하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또한 일본 내에서 HPV 예방접종에 대해 공포를 키운 논문(실험쥐에 HPV 백신을 접종 한 후 신경학적 손상을 보이는 결과를 보여줌)이 동물연구의 실험조건을 부풀린 것으로 밝혀져 해당 학회지는 논문게재를 철회한다(Scientific Reports, ’18.5월)고 밝혔습니다.
- HPV 예방접종 때문에 임신할 수 없게 되었다는데?
미국질병관리본부(CDC)는 난소부전 증상이 HPV 백신과 관련성이 없으며, 오히려 자궁경부암에 걸렸을 경우 치료 과정에서 임신이 어렵게 될 위험을 백신접종을 통한 암 예방으로 줄일 수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 HPV 예방접종 때문에 걷지 못하게 되었다는데?
- ①철회사유 : 고농도의 HPV백신과 백일해 독소를 함께 주입함으로써 뇌-신경계에 대한 영향을 최대화 하도록 디자인되어 있으며, 백일해 독소를 함께 주입하는 것은 HPV 백신 자체로 인한 신경학적 손상을 보려고 한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음 유럽의약청(EMA) 역시 ’16년 초 HPV 백신과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관련성이 없다고 공식 발표하였습니다.(’16.1.12.)
-
WHO 의 입장
-
-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백신안전성자문위원회(GACVS)는 전 세계에서 수집된 안전성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HPV 예방접종을 중단할 만큼 안전성 우려는 없으며 여전히 안전하다고 반복적으로 발표하였습니다. (’13.6월, ’13.12월, ’14.2월, ’14.3월, ’15.12월, ’17.6월)
- WHO GACVS meeting(’17.6월)에서 HPV 백신은 아나필락시스의 위험이 백만도즈 당 약 1.7건이고, 실신의 경우 주사에 대한 불안 또는 스트레스 관련 반응입니다.
이외 다른 이상반응은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HPV 백신은 매우 안전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https://www.who.int/groups/global-advisory-committee-on-vaccine-safety/topics/human-papillomavirus- vaccines/safety)
우리나라에서 국가예방접종 도입 후 이상반응 신고 현황
2023년 8월 기준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 국가예방접종 도입 후 약 267만 건 접종 후 197건(0.007%)의 이상반응이 신고되었고, 이 중 심인성 반응인 일시적인 실신 및 실신 전 어지러움 등의 증상(71건, 36.0%)이 가장 많았습니다.
총계 | 국소 | 전신 이상반응 | |||||
---|---|---|---|---|---|---|---|
실신 | 실신 전 증상 | 알레르기 및 피부이상반응 |
발열, 두통, 오심, 구토 등 (비특이적 전신반응) |
신경계 및 근골격계 |
기타 | ||
197 | 26 | 48 | 23 | 24 | 29 | 21 | 25 |
- ②신경계 및 근골격계 : 편두통, 안면신경마비, 하지 통증, 접종 중 양팔떨림, 실신 중 경련 등 (대부분 증상 지속없이 소실됨)
- ③기타 : 염좌, 탈모, 설사 등
안전한 접종을 위한 주의사항
-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에서 가까운 지정의료기관과 해당 의료기관에서 접종 가능한 백신 종류를 확인합니다..
- 건강상태가 좋은 날, 보호자와 함께 지정의료기관을 개별적으로 방문합니다. 만약 동행이 어려운 경우 보호자 동의서④를 미리 작성해주세요.
- 의료기관에 도착하여 사춘기 성장발달과 초경 관련 자료 및 예방접종 안내문을 읽어봅니다.
- ‘표준 여성 청소년 건강상담 체크리스트’(해당자만)와 ‘예방접종 예진표’를 작성합니다.
- 작성한 ‘표준 여성 청소년 건강상담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건강 상담을 받습니다(해당자만).
- ‘예방접종 예진표’를 토대로 의사선생님의 예진 후 예방접종을 받습니다.
- 예방접종 후에는 20~30분간 접종기관에서 머물면서 이상반응 발생여부 등을 관찰하고 예방접종 후 주의사항 및 다음 상담 ∙ 접종일정 확인 후 귀가합니다.
- 예방접종 후에는 접종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휴식을 취합니다.
- ④보호자 동의서 : HPV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소개 참조
접종현황
HPV 예방접종 현황
구분 | 2010년생 | 2011년생 |
---|---|---|
전국 | 76.6% | 29.0% |
서울특별시 | 73.2% | 26.3% |
부산광역시 | 79.0% | 28.5% |
대구광역시 | 71.1% | 24.2% |
인천광역시 | 74.4% | 26.8% |
광주광역시 | 75.4% | 30.0% |
대전광역시 | 77.1% | 30.4% |
울산광역시 | 81.1% | 28.8% |
세종특별자치시 | 74.9% | 29.3% |
경기도 | 76.9% | 27.3% |
충청북도 | 80.8% | 35.6% |
충청남도 | 81.4% | 37.1% |
전라북도 | 79.1% | 36.3% |
전라남도 | 77.2% | 34.9% |
경상북도 | 77.6% | 31.9% |
경상남도 | 77.6% | 27.9% |
제주특별자치도 | 75.4% | 27.3% |
강원특별자치도 | 80.6% | 35.3% |
- ①가다실, 서바릭스, 가다실9 백신의 접종력이나, 가다실9 백신은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대상 백신이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