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은
급성 중이염, 폐렴 및 균혈증, 수막염 등 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 중의 하나이며, 폐렴구균에 의한 침습성 감염은 영아 및 어린 소아와 65세 이상의 고령자에서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
폐렴구균은 어떻게 전파되나요?
-
폐렴구균의 병원소는 증상이 없는 보균자의 비인두이며, 호흡기 비말(미세 침방울)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 전파되거나 상기도에 균을 가진 사람에서 자가접종(autoinoculation)에 의해 전파됩니다.
-
폐렴구균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
폐렴구균에 의한 감염은 비침습성 감염(부비동염, 중이염, 폐렴 등)과 침습성 감염(수막염, 균혈증 등)으로 구분되며, 성인에서는 폐렴이 가장 흔하고 소아에서는 급성 중이염, 부비동염, 폐렴 및 패혈증 등이 흔히 나타납니다.
-
폐렴구균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
폐렴구균의 감염 부위와 항생제 내성 여부를 고려하여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
폐렴구균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통해 폐렴구균에 의한 감염증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접종대상- 단백결합 백신(10가, 13가)
-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 생후 2개월부터 5세 미만의 모든 소아
- 5세 미만에 접종을 받지 않은 5세 이상의 고위험군(표1) 중
- 60~71개월의 만성질환 및 면역저하 상태의 소아
- 면역저하, 무비증, 뇌척수액 누출, 인공와우 이식 상태에 있는 6~18세 소아청소년
- 19세 이상 성인
- 면역저하상태, 무비증, 뇌척수액 누출, 인공와우 이식(표2)
-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 다당 백신(23가)
- 2세 이상 고위험군인 소아청소년과 성인(표1, 표2)
- 65세 이상 노인
< 표1. 19세 미만 소아청소년에서 폐렴구균 백신 접종의 대상이 되는 기저질환들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에서 폐렴구균 백신 접종의 대상이 되는 기저질환들을 안내하는 표입니다. 위험군 질환 정상면역 소아청소년 - 만성 심장 질환
- 만성 폐 질환
- 당뇨병
- 뇌척수액 누출
- 인공와우 이식 상태
- 만성 간 질환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소아청소년 - 겸상구 빈혈 또는 헤모글로빈증
- 무비증 또는 비장 기능장애
면역저하 소아청소년 - HIV 감염증
- 만성 신부전과 신증후군
- 면역억제제나 방사선 치료를 하는 질환 (악성 종양, 백혈병, 림프종,호지킨병) 또는 고형 장기 이식
- 선천성 면역결핍질환
표를 좌우로 당기세요< 표2. 19~64세 성인에서 폐렴구균 백신 접종의 대상이 되는 기저질환들 >19~64세 성인에서 폐렴구균 백신 접종의 대상이 되는 기저질환들을 안내하는 표입니다. 위험군 질환 정상면역 성인 - 만성 심혈관 질환(고혈압 제외)
- 만성 폐 질환
- 당뇨병
- 뇌척수액 누출
- 인공와우 이식 상태
- 알코올 중독
- 간경변을 포함한 만성 간 질환
- 흡연
기능적 혹은 해부학적 무비증 가진 자 - 겸상구 빈혈 또는 헤모글로빈증
- 무비증 혹은 비장 기능 장애 및 비장제거술
면역저하자 - 선천성 또는 후천성 면역결핍증
- HIV 감염증
- 만성 신부전, 신증후군
- 신증후군
- 백혈병, 림프종
- 전신적인 악성종양
- 면역억제제,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전신요법 및 방사선 치료를 필요로 하는 질환
- 고형 장기 이식
- 다발성 골수종
표를 좌우로 당기세요접종시기- 단백결합 백신(10가, 13가)
- 생후 2~59개월 소아 : 생후 2, 4, 6개월에 3회 기초접종, 12~15개월에 1회 추가접종
- 생후 7개월 이후 접종을 시작할 경우 시작연령 및 백신 종류에 따라 1~3회 접종
- 10가와 13가 백신간의 교차접종은 권고하지 않음
- 다당 백신(23가)
- 65세 이상 연령에서 1회 접종
- 비장적출술, 면역억제치료, 인공와우 이식술 등이 예정된 소아는 수술이나 치료 시작 전 최소 2주까지는 단백결합 백신 또는 다당 백신으로 접종 완료
-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면역기능 저하 상태의 소아청소년(2세 이상)
- 65세 이전에 첫 번째 다당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이 65세 이상 되었을 경우 첫 번째 다당 백신접종으로부터 5년이 경과한 후 1회에 한하여 재접종
- 단백결합 백신(10가, 13가)
- ① 특히 선천성 청색 심질환과 심부전
- ② 고용량의 스테로이드를 경구로 복용하는 천식환자도 포함함
- ③ B세포(체역면역) 혹은 T세포 결핍증, 보체결핍증(특히, C1, C2, C3 및 C4 결핍증), 탐식구 질환(만성 육아종질환은 제외)
- ④ 울혈성 심부전과 심근증 포함
- ⑤ 만성폐쇄성 폐질환, 폐기종 및 천식 포함
- ⑥ 기능적 혹은 해부학적 무비증 환자나 면역저하자는 1차 다당 백신 접종으로부터 5년이 경과한 후 2차 다당 백신 접종이 권장됨
- ⑦ B세포(체액면역) 혹은 T세포 결핍증, 보체결핍증(특히, C1, C2, C3 및 C4 결핍증), 탐식구 질환(만성 육아종 질환은 제외)
-
폐렴구균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는 무엇이 있나요?
-
폐렴구균 백신은 접종 후 심한 알레르기 반응과 같은 이상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지만 매우 드물고, 대부분의 이상반응은 경미하며 수일 후 호전되는 일시적인 반응입니다. 이상반응 중 가장 흔한 것은 접종부위 부어오름, 발적, 통증 등의 국소 이상반응이며 발열, 근육통 등 전신 이상반응이 있을 수 있습니다.
관련 자료
국내외 지침
연구보고서
국내 예방접종의 접종률 정기조사 및 분석, 활용방안
국가 예방접종정보의 빅데이터 활용기반 구축방안
예방접종 이상반응 감시강화 및 효율적 통합관리 방안연구
국내외 동향
PCV13과 PPSV23 백신 간 간격 권고(ACIP)
미국 65세 이상 성인에서의 폐렴구균 예방접종 권고
WHO 폐렴구균 백신 권고(2012)
기타
[보도참고자료] 부모님에게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챙
[보도참고자료] 65세 어르신, 올해엔 가까운 병ㆍ의원..
[보도참고자료] 65세 이상에 무료 지원하는 폐렴구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