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형간염(Hepatitis A)
최종검토일 : 2025-01-20A형간염은 A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 HAV)에 의하여
발생하는 간염으로 환경 및 위생개선과 적절한 예방조치로 예방이 가능합니다.
예방접종 실시 기준 및 방법
접종 대상
- 생후 12~23개월의 모든 소아
- A형간염 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이 높은 상황
- A형간염의 유행지역으로의 여행자나 장기 체류자
- 남성 동성애자
- 불법 약물 남용자
- 직업적으로 노출될 위험이 있는 자(실험실 종사자, 의료인, 군인 등)
- A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중증 질환으로 발전될 위험이 높은 상황
- 면역저하자: 선천 또는 후천 면역결핍자,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자, 만성 신질환자(투석 중), 고형기관 및 조혈모세포 이식자, 면역저하 약제 및 생물학적 제제의 피치료자
- 만성 간 질환자: B형 및 C형간염 감염자, 간경변증, 지방간, 알코올성 간질환, 자가면역 간염이 있는 자, alanine aminotranferase(ALT) 또는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수치가 정상치의 2배 이상이거나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증가한 자
- 41세 이상
- 기타
- A형간염의 감염 위험이 높거나 중증 질환의 위험이 높은 임신부
- A형간염이 유행할 때 A형간염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자
- A형간염 감염자와 접촉할 기회가 많은 직업을 가진 자
- ※ 40세 미만에서는 항체검사 없이 백신을 접종하고, 40세 이상에서는 항체검사를 실시하여 항체가 없는 경우에 접종하는 것을 권장
접종 일정 및 방법
- 접종 시기
- 1차 : 생후 12-23개월
- 2차 : 1차 접종 후 6개월 이상 경과한 후
- 접종 용량
- 17-18세 미만 : 0.5mL
- 18-19세 이상 : 1.0mL
- ※ 연령에 따른 용량과 적기접종 기간은 제품에 따라 다름
- 접종 부위 및 방법 : 삼각근에 근육주사
감염 경로
- ‘분변-경구’ 경로로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 전파되는 것이 대부분
- 분변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간접적으로도 전파
임상 양상
- 고열, 권태감, 식욕부진, 메스꺼움, 복통, 암갈색 소변, 황달 등
- 6세 미만의 소아에서는 증상이 경하며 황달이 생기는 경우는 드물지만, 6세 이상의 소아나 성인에서는 대부분 간염의 증상이 생기며, 이 중 70% 이상에서 황달 동반
치료방법
- 대증요법
- 전격 간염 또는 구토로 인해 탈수가 된 환자는 입원치료 필요
관련 자료
국내외 지침
예방접종 지침
2025년 국가예방접종사업 관리지침(의료기관용_2권)
2024-12-31
예방접종 지침
2025년 국가예방접종사업 관리지침(의료기관용_1권)
2024-12-31
예방접종 지침
국내외 지침 더 보기
2025년 국가예방접종사업 관리지침(보건소용_2권)
2024-12-31
연구보고서
예방접종 연구보고서
국내 예방접종의 접종률 정기조사 및 분석, 활용방안
2019-06-20
예방접종 연구보고서
국가 예방접종정보의 빅데이터 활용기반 구축방안
2019-06-20
예방접종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더 보기
예방접종 이상반응 감시강화 및 효율적 통합관리 방안연구
2019-06-20
국내외 동향
조회된 내용이 없습니다.
국내외 동향 더 보기기타
보도자료
[보도참고자료] 2월 1일부터 40대 A형간염 고위험군 무..
2020-03-19
보도자료
[보도참고자료] A형간염 고위험군 무료 예방접종 시
2020-01-13
보도자료
기타 더 보기
[보도자료] 영유아 A형간염 무료예방접종, 5월부터
2015-02-11
자주 묻는 질문
예방접종별안내
(금기 및 주의사항) 가임기 여성의 경우
2023-06-14
예방접종별안내
(특수한 경우의 접종) 과거 A형간염을 앓은 이력이 있는 겨우
2023-06-14
예방접종별안내
자주 묻는 질문 더 보기
(오접종) 1, 2차 최소접종간격을 지키지못했을 경우
2023-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