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Home
  • 예방접종 정보
  • >
  • 예방접종 알아보기
  • >
  • A형간염

A형간염(Hepatitis A)

최종검토일 : 2025-01-20

A형간염은 A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 HAV)에 의하여

발생하는 간염으로 환경 및 위생개선과 적절한 예방조치로 예방이 가능합니다.

예방접종 실시 기준 및 방법

접종 대상

  • 생후 12~23개월의 모든 소아
  • A형간염 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이 높은 상황
    • A형간염의 유행지역으로의 여행자나 장기 체류자
    • 남성 동성애자
    • 불법 약물 남용자
    • 직업적으로 노출될 위험이 있는 자(실험실 종사자, 의료인, 군인 등)
  • A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중증 질환으로 발전될 위험이 높은 상황
    • 면역저하자: 선천 또는 후천 면역결핍자,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자, 만성 신질환자(투석 중), 고형기관 및 조혈모세포 이식자, 면역저하 약제 및 생물학적 제제의 피치료자
    • 만성 간 질환자: B형 및 C형간염 감염자, 간경변증, 지방간, 알코올성 간질환, 자가면역 간염이 있는 자, alanine aminotranferase(ALT) 또는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수치가 정상치의 2배 이상이거나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증가한 자
    • 41세 이상
  • 기타
    • A형간염의 감염 위험이 높거나 중증 질환의 위험이 높은 임신부
    • A형간염이 유행할 때 A형간염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자
    • A형간염 감염자와 접촉할 기회가 많은 직업을 가진 자
    • ※ 40세 미만에서는 항체검사 없이 백신을 접종하고, 40세 이상에서는 항체검사를 실시하여 항체가 없는 경우에 접종하는 것을 권장

접종 일정 및 방법

  • 접종 시기
    • 1차 : 생후 12-23개월
    • 2차 : 1차 접종 후 6개월 이상 경과한 후
  • 접종 용량
    • 17-18세 미만 : 0.5mL
    • 18-19세 이상 : 1.0mL
    • ※ 연령에 따른 용량과 적기접종 기간은 제품에 따라 다름
  • 접종 부위 및 방법 : 삼각근에 근육주사

감염 경로

  • ‘분변-경구’ 경로로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 전파되는 것이 대부분
  • 분변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간접적으로도 전파

임상 양상

  • 고열, 권태감, 식욕부진, 메스꺼움, 복통, 암갈색 소변, 황달 등
  • 6세 미만의 소아에서는 증상이 경하며 황달이 생기는 경우는 드물지만, 6세 이상의 소아나 성인에서는 대부분 간염의 증상이 생기며, 이 중 70% 이상에서 황달 동반

치료방법

  • 대증요법
  • 전격 간염 또는 구토로 인해 탈수가 된 환자는 입원치료 필요

관련 자료

국내외 지침

연구보고서

국내외 동향

조회된 내용이 없습니다.

국내외 동향 더 보기

기타

자주 묻는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