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예방접종 알림터 > FAQ > 예방접종별안내
FAQ 게시판 목록
번호 |
제목/내용 |
13 |
-
[MMR]
홍역에 걸린 적이 있는 아이에게 MMR 예방접종을 할 필요가 있나요?
-
작성자예방접종관리과
등록일2017.02.23
예, 접종이 필요합니다.
▶ MMR 예방접종은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을 동시에 예방하는 백신으로 홍역을 앓았더라도 유행성이하선염과 풍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MMR 2회 접종을 완료하여야 합니다.
|
12 |
-
[MMR]
생후 10개월 된 아이가 홍역 유행 시 MMR 예방접종을 했습니다. 앞으로 1회만 더 접종하면 되나요?
-
작성자예방접종관리과
등록일2017.02.23
아니요, MMR 백신으로 2회 접종이 더 필요합니다(생후 12~15개월, 만 4~6세).
▶ MMR 1차 접종의 최소접종연령은 생후 12개월입니다. 그러나, 홍역 유행 시 또는 유행지역으로 여행할 경우에는 생후 6개월~12개월 미만의 영아에게 MMR 백신 접종이 가능하나 접종횟수에는 포함시키지 않고 생후 12개월 이후에 권장되는 접종일정에 따라 2회 접종을 완료하여야 합니다.
|
11 |
-
[MMR]
만 5세 된 소아가 MMR 예방접종을 한 번도 받은 적이 없다면, 1회만 접종하면 되나요?
-
작성자예방접종관리과
등록일2017.02.23
아니요, MMR 백신으로 2회 접종이 필요합니다.
▶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예방을 위해서는 2회의 MMR 백신 접종이 필요합니다. 권장되는 표준예방접종일정보다 지연된 경우 최소 4주 이상 간격을 유지하여 2회 접종을 완료합니다.
|
10 |
-
[MMR]
MMR 1차 접종 후 만 3세에 2차 접종을 하였습니다. 만 4~6세에 재접종을 해야 하나요?
-
작성자예방접종관리과
등록일2017.02.23
아니요, 재접종하지 않습니다.
▶ MMR 예방접종은 생후 12〜15개월, 만 4〜6세에 접종이 권장됩니다. 그러나 MMR 2차 접종이 가능한 최소접종연령은 생후 13개월이며, 1차와 2차의 최소접종간격은 4주입니다. 최소접종간격과 최소접종연령을 지켜서 접종을 하였다면 유효한 접종으로 더 이상의 접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
9 |
-
[MMR]
수두 백신 접종 10일 후 MMR 백신을 접종한 경우, 재접종해야 하나요?
-
작성자예방접종관리과
등록일2017.02.23
예, 약독화 생백신 간 최소접종간격(4주)을 준수하지 못했으므로 4주 간격을 지켜 MMR 백신 재접종이 필요합니다.
▶ 수두와 MMR 백신은 모두 약독화 생백신으로 동시접종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최소 4주 이상의 간격을 두고 접종해야 합니다. 최소접종간격을 지키지 못한 경우 항체 생성률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4주 간격보다 일찍 접종한 경우는 나중에 접종한 생백신을 접종한 날로부터 4주 후에 다시 접종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