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예방접종 알림터 > FAQ > 예방접종별안내
FAQ 게시판 목록
번호 |
제목/내용 |
136 |
-
[결핵]
BCG 접종이 지연된 경우에는 어떻게 접종하나요?
-
작성자예방접종관리과
등록일2017.02.23
BCG 접종이 지연된 경우 생후 3개월부터는 투베르쿨린 피부반응검사(TST) 시행 후 검사 결과에 따라 접종여부를 결정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 다만, 충분한 치료를 받고 있지 않는 결핵 환자와 접촉한 경우에는 접종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아울러 신생아기에 BCG 접종을 받지 못한 경우, 파종 결핵의 고위험 연령대로 알려져 있는 5세 미만 연령까지 접종을 권장합니다.
|
135 |
-
[결핵]
BCG 접종은 피내용과 경피용이 있던데, 차이가 있나요?
-
작성자예방접종관리과
등록일2017.02.23
안전성, 효과성면에서 차이는 없습니다. ▶ 경피 접종법은 피부에 주사액을 바른 후 9개의 바늘을 가진 주사도구를 이용하여 두 번에 걸쳐 강하게 눌러 접종하는 방법으로, 접종 시 백신 접종량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피내접종법은 정확한 양을 접종할 수 있어 WHO에서도 권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피내접종을 표준접종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134 |
-
[결핵]
B형간염 주산기 감염대상자의 경우 B형간염 면역글로불린(HBIG) 투여 후 얼마의 간격을 두고 BCG를 접종해야 하나요?
-
작성자예방접종관리과
등록일2017.02.23
특별히 고려해야 할 간격은 없으며, 표준예방접종일정에 맞추어 접종합니다.
▶ 신생아에게 HBIG 투여 후 BCG 백신을 접종했을 때, BCG 백신의 효과가 감소한다고는 볼 수 없으므로 특별한 간격을 두고 접종하지 않습니다. 참고로 BCG백신은 혈액 함유제제와의 투여간격에 제한을 둘 필요는 없습니다.
|
133 |
-
[결핵]
해외에서 살다와서 아직 BCG 접종을 못한 생후 13개월의 영아입니다. MMR 백신과 수두 백신을 지난주에 접종했는데 TST 검사는 얼마의 간격을 두고 해아 하나요?
-
작성자예방접종관리과
등록일2017.02.23
A. MMR 백신과 수두 백신 접종일로부터 최소 4주 이상 간격을 두고 TST 검사 후 결과에 따라 접종을 실시합니다.
▶ 홍역 백신의 경우 이론적으로 TST의 반응성을 낮출 수 있으므로 MMR 백신과 동시에 시행하거나, MMR 백신 접종 후 최소 4주가 지난 후에 TST를 시행합니다.
참고로 TST 시행 후 MMR 백신 등의 약독화 생백신을 접종할 경우에는 특별히 지켜야 할 간격은 없습니다.
|
132 |
-
[결핵]
BCG 피내용 백신 접종 후 접종부위에 농양이 생성되었습니다. 치료를 받아야 하나요?
-
작성자예방접종관리과
등록일2017.02.23
아니요, 별도의 치료를 요하지는 않습니다.
▶ 접종부위에 생기는 농양은 치료하거나 짜내지 않아도 자연 치유되며 연고를 바르거나 불필요한 조치를 할 경우 오히려 상처가 더 커지거나 오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접종 부위에 궤양이 생기더라도 연고를 바르거나 반창고 등을 붙이지 않도록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