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예방접종 알림터 > FAQ > 예방접종별안내
FAQ 게시판 목록
번호 |
제목/내용 |
121 |
-
[B형간염]
2022년도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 대상자는 누구인가요?
-
작성자예방접종관리과
등록일2017.02.23
B형간염 표면항원(HBsAg) 양성 또는 e항원(HBeAg) 양성 산모로부터 2009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영유아 중 산모의 임신 중 산전검사결과지* 제출 및 개인정보제공 동의자가 대상입니다.
* 임신 중 또는 분만 후 7일 이내 시행한 산모의 B형간염 표면항원(HBsAg) 또는 e항원(HBeAg) 검사 결과 양성
|
120 |
-
[B형간염]
신장질환으로 주 3회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는 B형간염 예방접종을 몇 번 접종해야 하나요?
-
작성자예방접종관리과
등록일2017.02.23
B형간염 백신 기초접종 3회를 반드시 완료해야 하며, 그 후 매년 B형간염 표면항체(anti-HBs) 검사를 시행하고 항체가가 10 mIU/mL 미만일 경우 1회 추가접종을 권장합니다.
|
119 |
-
[B형간염]
출생 시 체중이 2Kg 미만인 미숙아는 어떻게 접종해야 하나요?
-
작성자예방접종관리과
등록일2017.02.23
산모의 B형간염 표면항원(HBsAg)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 산모의 HBsAg이 음성이라면 생후 1개월이나 생후 1개월 이전이라도 의학적으로 안정되고 체중 증가가 잘 이루어져 병원에서 퇴원할 때 1차 접종을 실시합니다. 이후 2, 3차 접종은 1차 접종 1개월 후와 생후 6개월 연령에 각각 실시합니다.
▶ 출생 시 체중이 2kg 미만이면서 산모의 HBsAg 결과가 양성이거나 모르는 경우에는 출생 후 12시간 이내에 B형간염 면역글로불린(HBIG)과 B형간염 백신을 접종합니다. 이 경우 출생 직후 접종한 첫 번째 B형간염 백신은 접종 횟수에 포함시키지 않고 출생 후 1, 2, 6~7개월에 3회 더 접종하여 완료합니다(총 4회 접종).
▶ 다른 백신과 다르게 B형간염 백신은 항체 형성에 있어 체중의 영향을 받으므로, 출생 시 2kg 미만인 신생아에게 출생 직후 B형간염 백신을 접종했을 때 2kg 이상인 신생아에 비해 항체 양전률이 떨어집니다.
|
118 |
-
[B형간염]
DTaP, 폴리오, 뇌수막염, B형간염혼합백신으로 3차 접종을 생후 16주에 접종(2차와 4주 이상 간격 준수)하였습니다. B형간염 백신 재접종이 필요한가요?
-
작성자예방접종관리과
등록일2017.02.23
예, 재접종이 필요합니다.
▶ 우리나라의 B형간염 3차 접종의 최소접종연령은 생후 24주이므로 B형간염 단독백신으로 생후 24주 이후에 이전의 마지막 접종과 적어도 8주 간격을 띄고 재접종합니다.
|
117 |
-
[B형간염]
B형간염 예방접종이 지연되어 생후 5개월에 1차를 접종하고 2차를 4주 후, 3차를 2차 접종일로부터 최소 8주 간격을 두고 접종했습니다. 접종이 유효한가요?
-
작성자예방접종관리과
등록일2017.02.23
아니요, 1차와 3차의 최소접종간격이 지켜지지 않았으므로 재접종이 필요합니다.
▶ B형간염 2차와 3차의 최소접종간격은 8주이나, 1차와 3차간에도 최소 16주 이상의 간격을 두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