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예방접종 길잡이 >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 B형간염

B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에 감염되어 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경과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급성 B형간염 중 5~10%가 만성 B형간염으로 진행되며 만성 B형간염이 지속되면 간경화증이나 간세포암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으로 국내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가 많이 감소하였지만 미국 및 유럽의 여러 국가에 비해 아직도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B형간염은 어떻게 전파되나요?
- B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의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전파됩니다.
주요 감염 경로는 주산기감염(B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체로부터의 감염), 수혈, 오염된 주사기 사용, 침습적인 검사 및 시술, 성 접촉 등이 있습니다.
※ B형간염은 일상적인 활동(재채기, 기침, 껴안기, 음식 나눠먹기, 모유수유 등)으로는 전염되지 않음
- B형간염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 무증상 또는 다른 바이러스성 간염과 유사한 피로감, 식욕부진, 구역, 구토 등 비특이적인 소화기 증상과 우상복부 불편감, 쇠약감, 무기력, 황달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B형간염은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 급성 B형간염의 치료는 증상을 줄이기 위한 대증요법이 주된 치료법이며, 만성 B형간염에서는 항바이러스제 투약 등의 치료법이 있습니다.
- B형간염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 B형간염 예방접종을 통해 B형간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접종대상: 모든 신생아 및 영아
• 접종시기: 생후 0, 1, 6개월 일정으로 3회 접종
-
※단, 모체가 B형간염 표면항원(HBsAg) 양성인 경우에는 면역글로블린(HBIG)과 B형간염 1차접종을 생후 12시간 이내 각각 다른 부위에 접종
-
※과거 B형간염의 감염증거와 예방접종력이 없는 성인 중 B형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이 높은 환경에 있는 경우에도 예방접종이 권고됨
-
-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가족
- 혈액제제를 자주 수혈받아야 되는 환자
-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
- 주사용 약물 중독자
- 의료기관 종사자
- 수용시설의 수용자 및 근무자
- 성매개질환의 노출 위험이 큰 집단
- B형간염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는 무엇이 있나요?
- B형간염 예방접종 후에 생길 수 있는 이상반응은 실제로 드뭅니다. 이상반응 중 가장 흔한 것은 주사 부위의 통증이며 미열, 발적, 경한 종창, 두통 등 경미한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드물게 중한 전신 이상반응 및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