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예방접종 길잡이 >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Haemophilus influenzae type b)은 뇌수막염, 후두개염, 폐렴, 관절염, 봉와직염 등 침습성 감염 질환의 원인이 되며, 5세 미만 소아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은 어떻게 전파되나요?
- 주로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분비되는 호흡기 비말에 의해서 상기도를 통하여 몸 속으로 침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감염증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에 의한 침습성 질환은 여러 장기를 침범할 수 있으며, 가장 흔한 형태는 수막염, 후두개염, 폐렴, 관절염 및 봉와직염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심낭염, 심내막염, 결막염, 골수염, 복막염, 패혈성 혈전 정맥염 등을 일으킵니다.
-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감염증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 침습성 Hib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는 입원하여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감염증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 Hib 백신 접종을 통해 예방이 가능합니다.
• 접종대상
- 생후 2~59개월 소아
-소아기에 Hib 백신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침습성 Hib 감염의 위험성이 높은 만 5세 이상의 소아청소년 및 성인(고위험군: 겸상적혈구증, 비장절제술 후, 면역결핍증, 항암치료에 따른 면역저하, HIV 감염(성인 제외), 초기 요소 보체결핍증, 조혈모세포이식 등)
• 접종시기
- 정기접종: 생후 2, 4, 6개월에 기초접종 및 생후 12~15개월에 추가접종(총 4회 접종)
- 따라잡기 접종: 7개월 이후에 접종을 시작한 경우 시작 연령에 따라 1~3회 접종
- 고위험군
① 12개월 미만: 정기접종에 준함
② 12개월~59개월의 고위험군
③ 그 외 고위험군
* 이전 접종력과 상관없이, 이식 6~12개월 이후부터 최소 4주 간격으로 3회 접종
-
※Hib 예방접종은 DTaP-IPV/Hib 혼합백신으로도 접종 가능
※단, DTaP-IPV/Hib 혼합백신은 기초접종 시에만 사용하도록 하며 동일 제조사의 백신으로 접종하도록 권장
-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는 무엇이 있나요?
- 5~30%에서 주사부위에 국소적인 종창 및 발적, 통증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 12~24시간 내에
소실됩니다. 발열과 보챔 등의 전신증상은 흔하지 않고 심각한 이상반응은 아직 보고된 바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