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예방접종 길잡이 >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 신증후군출혈열

신증후군출혈열(유행성출혈열)은 고열, 혈소판 감소증, 신부전 등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열성 질환입니다.
- 신증후군출혈열은 어떻게 전파되나요?
- 바이러스가 포함된 설치류의 배설물이 에어로졸의 형태로 호흡기를 통해 유입되어 발생하거나 드물게 설치류에게 물린 상처를 통해 전염됩니다.
- 신증후군출혈열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 잠복기는 평균 약 2~3주 정도이며 고열, 저혈압, 출혈 경향 및 신기능 감소가 특징인 질환입니다.
- 신증후군출혈열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 치료를 위한 특이요법은 없고 임상경과 시기별로 적절한 보조요법(혈압상승제 투여, 수액요법, 투석 치료 등)을 실시하며, 치료에 앞서 출혈이나 쇼크의 발송을 감소시키기 위해 절대 안정이 필요합니다.
- 신증후군출혈열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 신증후군출혈열 위험지역에서 야외 노출을 최소화는 것이 중요하며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접종을 통해 신증후군출혈열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접종대상: 위험요인 및 접종환경 등을 고려하여 제한적으로 접종 권장
- 군인 및 농부 등 지속적으로 신증후군출혈열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이 높은 집단
- 신증후군출혈열 바이러스를 다루거나 쥐 실험을 하는 실험실 요원
- 야외활동이 빈번한 사람 등 개별적 노출 위험이 크다고 판단되는 자
• 접종시기: 한달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12개월 뒤에 1회 접종
(즉, 0, 1, 13개월 일정으로 3회에 걸쳐 접종)
-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접종후 이상반응에는 무엇이 있나요?
-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접종 후에 생길 수 있는 이상반응은 대개 경미하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닌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국소 이상반응으로 접종 후 가려움증, 색소침착, 발적, 통증, 부종 등이 있으며, 전신 이상반응으로 발열, 권태감, 구역질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