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예방접종 길잡이 >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 결핵

결핵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한 감염질환으로 폐를 침범할 뿐만 아니라 흉막, 림프절, 복부, 골 및 관절, 중추신경계 등 신체의 여러 부분을 침범하는 질환입니다.
- 결핵은 어떻게 전파되나요?
- 호흡기 결핵 환자의 기침, 재채기 등을 통해 나오는 미세한 비말형태의 분비물을 통하여 다른 사람에게 전파됩니다.
- 결핵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 발열, 식욕부진, 체중감소, 야간발한 등의 전신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폐결핵의 경우 지속되는 기침, 가래, 객혈(가래에 피가 섞임) 등의 호흡기 증상이 있고 영아에서는 마른기침, 경한 호흡곤란이 가장 흔한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폐외결핵의 경우 발열 등의 전신증상과 감염부위의 통증 등의 국소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결핵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 항결핵제를 복용하는 내과적 치료를 실시하며 수술과 같은 외과적 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결핵이 발병한 사람은 의사의 지시에 따라 치료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고, 처방된 약을 꾸준히 복용해야 내성균 발현을 막고 결핵을 완치할 수 있습니다.
- 결핵은 어떻게 예방하나요?
- BCG 예방접종을 통해 결핵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접종대상 및 접종시기: 생후 4주 이내의 모든 신생아에게 1회 접종
-
※접종이 지연된 경우 생후 3개월 미만까지는 투베르쿨린 피부검사의 확인 없이 접종하며, 충분한 치료를 받고 있지 않은 호흡기 결핵 환자와 접촉한 경우에는 접종하지 않음
- BCG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는 무엇이 있나요?
- 가장 흔한 국소반응은 광범위한 국소 피부 궤양, 켈로이드, 국소 림프절염으로 면역이 정상인 접종자의 1% 미만에서 발생하는데, 대개 수주에서 수개월 사이에 발생하며 간혹 수 년 후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전신반응으로는 매우 드물게 골염/골수염, 파종성 BCG감염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